티스토리 뷰

육아를 하다 보면 누구나 느끼게 되는데 아이를 키우는게 육아의 정의같지만, 사실은 내 감정을 다스리는게 먼저라는 걸 깨닫게 된다. 말이 안 통할 때, 이유 없이 울거나 고집부릴 때,화가 치밀어 오르면서 동시에 죄책감이 들잖아.“엄마가 이래도 되나” 하는 마음.그래서 나는 요즘 ‘감정지능’에 대해 자주 생각해. 아이보다 엄마인 내가 먼저 감정을 잘 알아차리고, 다루고, 회복하는 힘. 그게 결국 아이에게 제일 큰 영향을 주더라고.이 글에서는 감정지능을 키우는 엄마로써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할 세 가지, EQ  / 엄마의 모범 / 인정받고 싶은 욕구에 대해 솔직하게 나눠보겠습니다. 

감정을 읽는 엄마가 아이를 잘 키운다 (EQ, 모범, 인정욕구)
감정을 읽는 엄마가 아이를 잘 키운다 (EQ, 모범, 인정욕구)

EQ: 아이의 감정을 읽기 전에 먼저 내 마음을 보세요

전에는 아이의 감정을 관리하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아이가 화가 나면 "괜찮아요"라고 말합니다 화가 나면 "그렇게 하면 안 돼요"라고 말합니다 저는 항상 아이를 바라보며 오직 아이만 조율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게 말해도 불안하거나 짜증이 나면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 아이는 말보다 어머니의 감정적인 분위기를 먼저 읽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성 지능은 아이들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어머니가 자신의 감정을 빠르게 인식하고, 인정하며, 놓아주는 능력. 이것은 아이의 감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들면, "지금 너무 피곤해요." "아이에게 화가 나서가 아니라 피로 때문입니다." 마음속으로 이야기하는 연습입니다. 하면 할수록 덜 몰입하게 됩니다, 한 발 물러설 여유가 있습니다. 아이를 조용히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어머니를 조용히 해주는 힘. 이것이 EQ의 시작입니다

예시: 말보다 강한 감정의 전달

아이가 화를 낼 때, 우리는 종종 그들에게 "분노를 참아야 한다", "말로 말해 주세요"라고 가르칩니다 하지만 아이는 말하기 전에 어머니가 보통 감정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배웁니다. 예를들면, 그녀는 짜증이 나면 물건을 던집니다 그들을 크게 훈육하면 아이도 그것을 배웁니다. 반대로, "엄마, 지금 화가 나요. 하지만 숨을 들이쉬고 말할게요." 이렇게 감정을 표현하되 어떻게 조절하는지 보여주면 됩니다 아이에게 '이렇게 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자연스럽게 새겨져 있습니다. 엄마가 완벽할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실수를 했을 때 사과하는 것이 더 깊이 배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엄마, 말이 너무 많았죠? 미안해요. 다시 얘기할까요?" 아이의 마음은 이 말에 훨씬 더 열려 있습니다. 아이에게 감정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말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보여주기. 엄마가 감정 앞에서 떨고 있는 것조차도, 돌아와서 청소하고 회복하고 싶습니다 모든 것이 감정적인 언어로 아이에게 전달됩니다

인정욕구: ‘잘하고 있다는 말’이 필요한 건 엄마도 마찬가지야

아이들은 늘 칭찬받고 싶어 합니다. 작은 그림 하나 그려도, 블록 몇 개 쌓아도 “엄마, 나 잘했지?” 그 눈빛에서 얼마나 인정받고 싶어 하는지 느껴집니다. 그런데 가만 보면, 우리도 똑같습니다.
매일 밥하고, 청소하고, 아이 챙기고… 누구 하나 "수고했어", "너 진짜 잘하고 있어" 해주는 사람 없을 때, 마음이 휑해집니다.

나는 그래서 인정욕구 자체를 부정하지 않아. 엄마도 누군가에게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 있는 존재라는 걸 인정하고 나니까
오히려 아이의 욕구도 더 따뜻하게 보이더라. 엄마가 감정지능을 갖는다는 건, 내 감정이 왜 올라오는지, 그 밑에 뭐가 있는지 살펴보는 일이야. "내가 왜 이렇게 예민하지?" 싶을 땐 사실 “누가 나 좀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이 쌓여 있었던 거지.

이럴 땐, 잠깐 거울을 보며 이렇게 말해봐. “나도 충분히 잘하고 있어.” 그 말 하나로, 내 안의 허기가 조금은 채워지더라.

감정지능 높은 엄마란 감정을 안 느끼는 엄마가 아니라, 감정을 느끼되 흘려보낼 줄 아는 사람이야.

아이의 눈높이에서 감정을 함께 느끼고, 엄마 자신을 지켜내면서도 모범이 되어주는 엄마.
그런 모습은 훈련으로 조금씩 만들어갈 수 있어.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감정이 복잡한 날도 괜찮아.
중요한 건, 엄마인 나를 먼저 들여다보려는 그 태도 자체가 이미 아이에겐 큰 배움이라는 거야.